전체 글40 오딘, 북유럽 신화 속 지혜와 용기의 상징 북유럽 신화의 가장 중요한 신, 오딘에 대해 알아보고, 그의 역할과 전설을 탐구해봅니다. 이 글을 통해 북유럽 문화와 신화에 대한 깊은 이해를 얻게 될 것입니다. 또한, 오딘이 우리 삶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도 발견하게 됩니다. 북유럽 신화의 왕 북유럽 신화에서 오딘은 모든 신들의 왕이며, 전쟁과 시, 예언 그리고 사망을 지배하는 주요한 신입니다. 그는 종종 두 눈 중 하나를 잃은 남자로 나타나며, 이것은 그가 지혜를 얻기 위해 자신의 물리적인 시력을 희생했다는 상징입니다. 그의 이름 자체가 '광폭'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서 그가 격렬하고 열정적인 존재임을 보여줍니다. 오딘이 지식과 지혜에 대한 갈망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것은 그가 세상에서 가장 현명한 존재로 여겨지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오딘과 지혜의 .. 2023. 12. 1. 아라문의 검 실제역사 부도지(符都誌) 제14장 ~ 제16장 14장 ~ 16장은 임검이 건설한 부도(기호(글)의 도시)의 번영을 이야기합니다. 14장에서는 천부인(천부의 새김), 천부의 음과 어문(글)이 나옵니다. 후에 세종대왕의 한글창제와 연결됩니다. 드라마 '아라문의 검'에서도 아스달은 글을 사용하는 도시죠. 제14장 황궁씨의 후예 6만이 부도를 지키며 곧 나무를 베어 뗏목 8만을 만들고 신부(천부)를 새겨 천지의 물에 흘려 보내 사해의 여러 부족들을 초청하였다. 여러 부족들이 신부를 얻어 보고 차례로 모여들어 박달나무 숲에 신시를 크게 열고 수계하여 마음을 정화하고 천간의 상을 살피고, 마고의 계보를 연구하여 그 족속을 밝히고 천부의 음에 준하여 그 어문을 다듬었다. 또, 북쪽 별과 일곱 행성의 위치를 정하여 반석 위에 익힌 음식을 올리고 모여서 노래하며 천.. 2023. 11. 29. 아라문의 검 실제역사 부도지(符都誌) 제11장 ~ 제13장 11장 ~ 13장은 환인으로부터 천부삼인(천부인)을 계승한 환웅의 '널리 인간세상을 이롭게 한다' 홍익치세와 '천부를 강하다.' 천부경의 시작, 환웅을 계승한 임검의 부도(기호(글)의 도시 ) 건설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드라마 '아라문의 검'의 아스달이 바로 부도입니다. 제11장 환인씨의 아들 환웅씨는 태어날 때부터 큰 뜻이 있어 천부삼인을 계승하여 수계제불(몸과 마음을 닦고 액을 없애는 의식)하고 웅대한 하늘의 도를 세워 사람들이 그 유래한 바를 알도록 하였다. 어느덧 인간세상이 입고 먹는 일에만 편중하므로 환웅씨는 무여율법 4조를 정하여 환부에게 조절하도록 하였다. 1조는, 사람의 행적을 자주 깨끗이 닦아, 어두움이 덩어리져 귀를 낳거나 답답함과 근심이 마가 되지 않도록 하여 인간세상이 하나의 막힘도.. 2023. 11. 27. 아라문의 검 실제역사 부도지(符都誌) 제5장 ~ 제10장 4장 ~ 10장은 인간이 죄를 지어 마고성에서 쫒겨나는 이야기입니다. 드라마 '아라문의 검'의 아스달 이전의 역사입니다. 제5장 백소씨족의 지소씨가 사람들과 함께 젖을 마시려고 유천에 갔지만 사람은 많고 샘은 작아서 다른 사람들에게 양보하고 자신은 마시지 못하였다. 이 같음이 다섯 차례였다. 바로 돌아와 소(나무 위에 지은 집)에 올랐는데 배고픔에 어지러워 쓰러질 지경에 이르러 귀에는 헛소리가 들렸다. 그 때 오미를 맛보게 되었다. 바로 소 난간 덩굴 울타리의 포도열매였다. 일어나 펄쩍 뛰니 그 독력의 피해 때문이었다. 이내 소의 난간에서 내려와 걸으며 노래하기를, “넓고도 넓은 천지여, 내 기운이 넘치는구나. 이것이 무슨 이치인가. 포도 열매의 힘이로다.” 하였다. 모든 사람들이 다 이를 의심하였지만 .. 2023. 11. 25. 아라문의 검 실제역사 부도지(符都誌) 제1장 ~ 제4장 부도지(符都誌) 符都誌(부도지)는 신라의 충신인 박제상 선생께서 당시의 역사자료와 秘書(비서)를 토대로 저술한 澄心錄(징심록) 15誌(지) 중의 하나입니다. 부도지는 영해박(寧海朴)씨 종가에 전하여 왔으나 박금(朴錦)선생께서 6.25때 북에 두고 옴으로써 원문이 유실됩니다. 현재의 부도지는 박금 선생께서 과거에 징심록을 연구한 기억을 되살려 복원한 것입니다. 그래서 온전한 부도지라 할 수는 없겠으나 큰 줄거리는 유지되었다는 가정 하에 해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부도지에는 우리말의 탄생과 특징, 천부와 천부인과 천부경은 무엇인가, 부도의 도는 무엇인가, 사도에 대한 경고 등의 이야기들이 있습니다. 여기서는 수리나 역사, 지리적 해석보다 그러한 이야기들을 나누는 데 의미를 두려 합니다. 그 안에서, 단군들께.. 2023. 11. 17. The cute rebel of the French Revolution: Marie Antoinette of Louis XVI. Marie Antoinette is a figure that continues to intrigue people well beyond her time. Let's take a look at this cute rebel, remembered for her serene appearance, explosive personality, and most unique role during the French Revolution. As you read, you'll gain a new perspective on history and learn how Marie Antoinette made history in her way. From Austria to France Marie-Antoinette was originall.. 2023. 11. 3. 역사 속 보물 찾기 3 : 해적 캡틴 키드의 '맥모라 성' 보물, 'SS 중앙 아메리카호'의 금광, 고대 이집트 왕 네프렌카우 II세의 유물 (2에서 계속) 해적 캡틴 키드가 숨겨 둔 '맥모라 성'의 보물, 남북전쟁 시절에 잃어버린 'SS 중앙 아메리카 호'의 금광, 그리고 사하라 사막에서 발견된 고대 이집트 왕 네프렌카우 II세의 유물까지. 각각의 발견은 우리에게 과거로부터 뻗어온 역사와 문화를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창으로 들어가 봅니다. 이 글을 통해 우리는 잃어버린 시대들을 되살려보며 인류 역사의 귀중한 일면을 탐색할 수 있습니다. 계속 읽으면서 당신도 함께 역사 속 여정을 떠나보세요. 캡틴 키드의 맥모라 성에서 발견된 보물 해적 캡틴 키드는 17세기 후반에 활동한 가장 악명 높은 해적 중 한 명으로, 그는 대서양과 인도양을 무대로 활약하며 수많은 선박을 탈취하였습니다. 그런데 전혀 예상하지 못한 곳, 스코틀랜드 동부 해안에 위치한 맥모.. 2023. 10. 26. 역사 속 보물 찾기 2: 바다 속으로 사라진 보물들, 실버 피트 선박, 산 호세호 잠수함, 블랙비어드의 해적선 (1에서 계속) 바다는 많은 비밀을 감추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흥미로운 것은 아마도 바다 밑에 잠긴 선박들일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세 가지 흥미로운 사건들을 소개합니다: 스페인 제국의 금광을 운송하던 '실버 피트' 선박, 300년 된 '산 호세호' 잠수함 그리고 유명한 해적 블랙비어드의 '퀸 앤스 리벤지'. 과거의 숨겨진 이야기 속으르 들어가 보겠습니다. "실버 피트 선박 파열 사건: 바다 속에 잠긴 스페인 제국의 금광" 1641년, '실버 피트'는 스페인 제국의 부와 권력을 상징하는 중요한 무역선이었습니다. 이 선박은 신세계에서 채굴된 귀중한 금광을 유럽으로 운송하던 중, 갑작스런 폭풍으로 인해 바다 속으로 가라앉게 되었습니다. 실버 피트는 그 시절 가장 최신 기술로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져 .. 2023. 10. 25. 역사 속 보물 찾기 1 : 투탕카멘의 무덤, 에디슨의 발명품, 오클라호마의 로마 동전 이 세상에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거나 잊혀진 보물들이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그 중 세 가지를 중점적으로 다룹니다. 고대 이집트에서 발견된 투탕카멘의 무덤, 토마스 에디슨의 잃어버린 발명품들, 그리고 오클라호마에서 발견된 신비한 로마 동전에 대해 알아보세요. 각각은 역사적인 가치와 함께 우리가 생각하는 역사를 완전히 바꿔놓을 수 있는 가능성을 안고 있습니다. "투탕카멘의 무덤 발견: 고대 이집트의 보물" 1922년, 고대 이집트의 사막 한가운데에서 영국의 고고학자 하워드 카터는 세기의 발견을 했습니다. 그는 투탕카멘 왕의 무덤을 찾아냈는데, 그 동안 잊혀져 있던 파라오의 유품들이 가득한 상태로 남아있었습니다. 투탕카멘은 약 3300년 전, 즉 기원전 14세기경에 살았던 이집트 파라오였습니다. 그러나 어린 .. 2023. 10. 24.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