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orean34

천부경의 우리말식 해석: 우리말 천부경 전문2 七八九運三四成環五七一 : 칠(1) 팔(2) 구(3) 운(4) 삼(5) 사(6)성(7) 환(8) 오(9) 칠(10) 일(11) 한자어식 해석 : 일곱(1) 여덟(2) 아홉은(3) 셋(5) 넷을(6) 움직이고(4) 다섯과(9) 일곱과(10) 고리를(8) 이루어(7) 하나가 됩니다(11). 또는, 일곱(1) 여덟(2) 아홉을(3) 움직여(4) 셋(5)과 넷이(6) 고리를(8) 이루고(7) 다섯과(9) 일곱이(10) 하나가 됩니다(11). 또는, 生七八九 運三四 成環五七로 끊어, 일곱(1) 여덟(2) 아홉을(3) 낳고 셋(5) 넷을(6) 움직여(4) 다섯과(9) 일곱과(10) 고리를(8) 이룹니다(7). 우리말식 해석 : (여섯은) 일곱과(1) 여덟과(2) 아홉으로(3) 움직여(4) 셋과(5) 넷으로(6) 성숙.. 2024. 1. 3.
항공기 사고 사건 연표; 1900년대부터 2024년 1월 2일 일본 하네다 국제공항 일본항공(JAL) 항공기 화재까지 1900년대에서부터 2024년 1월 2일 일본 하네다 국제공항 일본항공(JAL) 항공기 화재 사건까지 주요 항공기 사건연표입니다. 상세한 내용은 검색하세요~~ 1908년 9월 17일: 토마스 에드워즈가 조종한 플라이어 1908 비행 시도 중 추락 사고 1912년 4월 20일: 브룩스 스미스가 조종한 플라이어 1912 비행 중 추락 사고 1920년 3월 10일: KLM 항공사의 디하비랜드 DH.16 비행 중 추락 사고 1928년 9월 3일: 그래프 스펙터가 조종한 비행기 폭발 사고 1931년 3월 31일: TWA 항공사의 디하비랜드 DH.80 비행 중 추락 사고 1933년 8월 15일: 중국 항공 800편 추락 사고 1935년 6월 7일: 빅터 웨이드가 조종한 비행기 추락 사고 1937년 5월 21일: 호.. 2024. 1. 2.
일본 지진의 역사 연표; 후지산 대폭발, 도쿄 대지진,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핵 재해의 동일본 대지진까지 일본은 지리적 위치상 지진이 잦은 지역으로, 수 세기에 걸쳐 많은 대규모 지진을 경험했습니다. 아래는 일본에서 발생한 주요 대규모 지진의 연표입니다: ○ 1707년 후지산 대폭발: 이 지진은 후지산의 대폭발과 동시에 발생했으며, 규모 8.7로 기록되었습니다. ○ 1855년 앤세이 에도 지진: 이 지진은 규모 7.0으로 기록되었으며, 도쿄 지역에서 많은 사상자를 발생시켰습니다. ○ 1891년 미노-오와리 지진: 이 지진은 규모 8.0으로 기록되었으며, 약 7,273명의 사망자를 낸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 1923년 대도쿄 지진(간토 대지진): 이 지진은 규모 7.9로 기록되었으며, 약 140,000명의 사망자를 낸 것으로 추정됩니다. ○ 1948년 후쿠이 지진: 이 지진은 규모 7.1로 기록되었으며, .. 2024. 1. 1.
천부경의 우리말식 해석: 우리말 천부경 전문1 천부경의 우리말식 해석 천부경이 우리말에서 조사나 어미 등의 붙임말이 빠진 채 어휘단어들만 문자화된 것으로 가정하면 문자들의 위치는 다음의 규칙에서 벗어나서는 안 됩니다. 1. 술어는 문장의 끝에 옵니다. 2. 수식어는 피수식어의 앞에 옵니다. 3. 앞에서 제시된 말이 주어로 올 경우 생략합니다. 천부경 해석의 첫 번째 어려운 점은 문장을 어디에서 맺느냐입니다. 우리말은 술어로 맺습니다. 주어나 목적어가 술어 뒤에 오거나 수식어가 피수식어 뒤에 오지 않습니다. 기존의 한자어식 해석과 한 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해석 순서에 번호를 달아 설명합니다. 一始無始一 : 일(1) 시(2) 무(3) 시(4) 일(5) 한자어식 해석 : 하나가(1) 시작하는데(2), 시작하는(4) 하나가(5) 없습니다(3). 또는, 하.. 2023. 12. 29.
천부경에 대한 의문; 천부경은 우리말 구조(어순)로 쓰여졌다 천부경에 대한 의문 우리민족에게 내려온 구전지서가 중국어구조로 쓰여졌을까? 널리 백성을 가르치기 위한 홍익의 글을 암호로 썼을까? 수 십년의 수련과 천문, 지리, 역학에 통달해야 알 수 있는 글이 홍익인가? 뜻을 모른 채 암송하면 천부의 이치에 닿을 수 있을까? 천부경은 왜 직역은 없고 의역만 있는가? 만물의 법이 하나라면서 천부경 해석이 분분한 것이 당연한가? 天符經(천부경)은 신라시대의 학자이자 문장가였던 최치원 선생께서 옛 비석을 통해 알게 된 天符(천부)의 이치를 설명하여 쓰신 글(經)입니다. 1916년 계연수 선생께서 이 글을 발견하신 후 대종교에서는 1976년 경전으로 받아들여 민족혼을 일깨우는 중심에 놓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지금까지도 그 해석이 분분하여, 풀리지 않는 고대의 암호라거나 태.. 2023. 12. 25.
아라문의 검 실제역사 부도지(符都誌) 제27장 ~ 제30장 부도지 27장 ~ 30장은 천부의 전함이 끊어진 후 부도(고조선)가 마한, 변한, 진한으로 나뉘고, 이어 마한은 고구려로, 변한은 백제로, 진한은 신라로 발전하는 역사입니다. 변한과 진한이 부도의 도를 지켜 나라와 왕을 칭하지 않았으며 고구려는 서쪽의 침략을 막아내기 위해 가장 먼저 국가가 되었다는 점이 흥미롭습니다. 제27장 (第二十七章) 은의 망명자 기자가, 패한 군사와 난민을 이끌고, 부도의 서쪽에 도망하여 왔다. 명예를 위하여 당우의 법을 행하고, 오행 삼정을 써서, 홍범 무함을 시행하였다. 천웅의 도와는 절대로 서로 용납할 수 없었다. 은의 군민이 무력으로 부도의 유중을 억압하므로, 유중이 마침내 명지의 단을 봉해버리고, 동해의 물가로 피하여 살았다. 즉 옛날의 사례벌의 공지였다. 사례벌은 긴 .. 2023. 12. 21.
Jupiter, King of Roman Mythology: The King of the Gods and His Legends One of the most important figures in Roman mythology, Jupiter is a powerful god who rules over thunder and law, and who appears in many different legends. Let's take a closer look at Jupiter and the different legends and symbols he's associated with. What is Jupiter? Jupiter wa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authoritative gods in Roman mythology. He is the king of thunder and lightnin.. 2023. 12. 19.
아라문의 검 실제역사 부도지(符都誌) 제24장 ~ 제26장 부도지 24장 ~ 26장은 요, 순과의 전쟁 이후에도 하나라, 은나라 등이 세워지고 서로 침략하며 세상이 어지러워진 이야기입니다. 이를 막지 못하여 결국 천부는 마고 분거 이래, 황궁, 유인, 환인, 환웅, 임검, 부루, 읍루의 7천년만에 그 전함이 끊어지게 됩니다. 천부란 무엇일까요? 천부가 청동검, 방울, 거울일까요? 기적같은 한글의 탄생과 연결됩니다. 제24장 유호씨가 이와 같이 정성스럽게 타이르고 경계하여 제법을 폐지하고 부도로 돌아 올 것을 권하였다. 하지만 우가 완강하게 듣지 아니하고 반대로 위협이자 모욕이라 하며 곧 무리를 이끌고 유호씨를 공격하였으나 수 차례 이기지 못하고 마침내 모산의 진지에서 죽었다. 이에 하의 무리들이 비분해 하며 죽기를 원하는 자가 수 만이었는데 이들은 거의가 우와 .. 2023. 12. 17.
이집트 신화의 태양신 라: 이시스, 우로보로스, 아문라 이집트 신화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태양신 라에 대해 알아봅시다. 여기서는 라의 여행, 이시스와의 관계, 세트와의 갈등, 그리고 우로보로스에 대한 설명부터 아몬-라와 오프디우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에피소드를 통해 라의 진정한 모습을 밝혀냅니다. 하늘을 가로지르는 여행자, 라 매일 동쪽에서 해가 솟아오르고 서쪽으로 지는 것은 단순히 자연 현상이 아닙니다. 이것은 태양신 라가 하루 동안 하늘을 가로지르는 여정을 의미합니다. 매일 밤마다 죽음과 부활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생명과 재생의 상징으로서의 라를 볼 수 있습니다. 라가 매일 밤 죽음과 부활을 반복하는 과정은 '낮'과 '밤'이라는 개념을 넘어서 인간 생명의 순환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일출은 새로운 시작이며 일몰은 종료를 상징하며 이러한 순환적.. 2023. 1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