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orean

천부경의 우리말식 해석: 우리말 천부경 전문2

by Sam Histo 2024. 1. 3.

 

 

 

七八九運三四成環五七一 : 칠(1) 팔(2) 구(3) 운(4) 삼(5) 사(6)성(7)
                                       환(8) 오(9) 칠(10) 일(11)

 

한자어식 해석 :
일곱(1) 여덟(2) 아홉은(3) 셋(5) 넷을(6) 움직이고(4) 다섯과(9) 일곱과(10) 고리를(8) 이루어(7) 하나가 됩니다(11). 또는, 일곱(1) 여덟(2) 아홉을(3) 움직여(4) 셋(5)과 넷이(6) 고리를(8) 이루고(7) 다섯과(9) 일곱이(10) 하나가 됩니다(11). 또는, 生七八九 運三四 成環五七로 끊어, 일곱(1) 여덟(2) 아홉을(3) 낳고 셋(5) 넷을(6) 움직여(4) 다섯과(9) 일곱과(10) 고리를(8) 이룹니다(7).

 

우리말식 해석 :
(여섯은) 일곱과(1) 여덟과(2) 아홉으로(3) 움직여(4) 셋과(5) 넷으로(6) 성숙하지만(7), 고리가 되어(8) 다섯과(9) 일곱과(10) 하나입니다(11).

한자어식 해석은 뜻에 문자를 맞추는 해석이라 구조적 일관성을 보기 힘듭니다.

 

妙衍萬往萬來用變不動本 : 묘(1) 연(2) 만(3) 왕(4) 만(5) 래(6)
                                      용(7) 변(8) 부(9) 동(10) 본(11)

 

한자어식 해석 :
묘하게(1) 흘러(2) 만번(3) 가고(4) 만번(5) 오며(6) 쓰임은(7) 변하지만(8) 근본은(11) 움직이지(10)    
않습니다(9).

 

우리말식 해석 :
(하나는) 묘하게(1) 흘러(2) 만번(3) 가고(4) 만번(5)        오며(6) 쓰이고(7) 변하지만(8), 아니(9) 움직이는(10) 근본입니다(11).

하나에 근본이 있어서 그 근본이 움직이지 않는다는 말과 하나 자체가 아니 움직이는 근본이라는 말은 전혀 다른 뜻입니다.

 

本心本太陽昻明 : 본(1) 심(2) 본(3) 태(4) 양(5) 앙(6) 명(7)

 

한자어식 해석 :
본(1)심의(2) 근원에서(3) 태(4)양이(5) 높게 떠올라(6) (세상을) 밝힙니다(7).

 

우리말식 해석 :
근본의(1) 마음은(2) 근본의(3) 태(4)양이(5) 높게 떠올라(6) 밝아집니다(7).

해석순서는 같지만 주어가 다르고 술어가 능동과 피동으로 다르므로 그 의미도 다른 것입니다.

 

人中天地一 : 인(1) 중(2) 천(3) 지(4) 일(5)

 

한자어식 해석 :
사람의(1) 중심에서(2) 하늘과(3) 땅이(4) 하나가            됩니다(5).

 

우리말식 해석 : 사람의(1) 중심은(2) 하늘과(3) 땅과(4) 하나입니다(5).

해석순서는 같지만 사람의 중심이 곧 하늘과 땅이란 말과 사람의 중심이라는          곳에서 하늘과 땅이 하나가 된다라는 말은 전혀 다른 뜻입니다.

 

一終無終一 : 일(1) 종(2) 무(3) 종(4) 일(5)

 

한자어식 해석 : 하나가(1) 끝나는데(2), 끝나는(4) 하나가(5) 없습니다                     

                       (3). 또는, 하나가(1) 끝나는데(2), 하나는(5) 끝이(4)

                      없습니다(3).

 

우리말식 해석 : 하나가(1) 끝나는데(2), 없음으로(3) 끝나는(4)

                      하나입니다(5).

 

 

모든 문장이 < 주어-술어수식어-술어 >구조임을 알 수 있습니다. 어휘문자만으로 이루어진 천부경을 풀이할 때, 문법적 기능을 하는 붙임말(어미나 조사 따위)을 중구난방으로 붙이지 않도록 한 가지 문장구조만을 취하여 해석의 오류를 방지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천부경은 우리말만 알면 누구나 읽는 것 만으로 알 수 있도록 쉽게 쓴 글입니다.

 

 

진짜다, 가짜다는 별로 관심 없습니다. 설명드리는 대로 우리말 그대로 읽어보세요. 참으로 오묘한 글입니다!

상세 설명 들어갑니다. 부도지와도 밀접하게 연결됩니다!

천부경은 천부의 내용(도)이고 부도지는 천부의 역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