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orean

천부경의 우리말식 해석: 우리말 천부경 전문1

by Sam Histo 2023. 12. 29.

천부경의  우리말식 해석

천부경이 우리말에서 조사나 어미 등의 붙임말이 빠진 채 어휘단어들만 문자화된 것으로 가정하면 문자들의 위치는 다음의 규칙에서 벗어나서는 안 됩니다.

 

1. 술어는 문장의 끝에 옵니다.

2. 수식어는 피수식어의 앞에 옵니다.

3. 앞에서 제시된 말이 주어로 올 경우 생략합니다.

 

천부경 해석의 첫 번째 어려운 점은 문장을 어디에서 맺느냐입니다. 우리말은 술어로 맺습니다. 주어나 목적어가 술어 뒤에 오거나 수식어가 피수식어 뒤에 오지 않습니다. 기존의 한자어식 해석과 한 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해석 순서에 번호를 달아 설명합니다.

 

 

 

一始無始一 : 일(1) 시(2) 무(3) 시(4) 일(5)

 

한자어식 해석 :

하나가(1) 시작하는데(2), 시작하는(4) 하나가(5) 없습니다(3). 또는, 하나가(1) 시작하는데(2), 하나는(5) 시작이(4) 없습니다(3).

 

우리말식 해석 :

하나가(1) 시작하는데(2), 없음에서(3) 시작하는(4) 하나입니다(5).

중국어도 주어를 마지막에 쓰지 않습니다.

 

析三極無盡本 : 석(1) 삼(2) 극(3) 무(4) 진(5) 본(6)

 

한자어식 해석 :
세(2) 극으로(3) 나뉘나(1) 근본은(6) 다함이(5) 없습니다(4).

 

우리말식 해석 :
(하나는) 나뉘어(1) 세(2) 극이 되니(3), 없음이(4) 다한(5) 근본입니다(6).

 

天一一地一二人一三 :
천(1) 일(2) 일(3) 지(4) 일(5) 이(6)
 인(7) 일(8) 삼(9)

 

우리말식 해석 :
하늘의(1) 하나가(2) 그 하나요(3), 땅의(4) 하나가(5) 그 둘이요(6), 사람의(7) 하나가(8) 그 셋입니다(9).

 

한자어식 해석과 같습니다.

 

一積十鉅無化三 : 일(1) 적(2) 십(3) 거(4) 무(5) 궤(6)  화(7)  삼(8)

 

한자어식 해석 :
하나가(1) 쌓이고(2) 열이(3) 커져서(4) 무(5)궤는(6) 셋이(8) 됩니다(7).

 

우리말식 해석 :
(세 극은) 하나씩(1) 쌓이고(2) 열씩(3) 묶여(4) 없음의(5) 상자로(6) 승화한(7) 셋이 됩니다(8).

한자어식 해석에서는 무궤를 ‘상자가(6) 없다(5)’로 해석하기도 합니다.

天二三地二三人二三 : 천(1) 이(2) 삼(3) 지(4) 이(5) 삼(6) 인(7) 이(8) 삼(9)

 

우리말식 해석 :
하늘과(1) 둘이(2) 셋이요(3), 땅과(4) 둘이(5)     
셋이요(6), 사람과(7) 둘이(8) 셋입니다(9).

 

한자어식 해석은 우리말식 해석과 비슷하거나 수리를 설명하는 의역들입니다.

 

大三合六生 : 대(1) 삼(2) 합(3) 육(4) 생(5)

 

한자어식 해석 :
큰(1) 셋이(2) 합하여(3) 여섯을(4) 낳습니다(5).  
또는, 大三合六에서 끊어, 큰(1) 셋이(2) 합하여(3)          여섯이 됩니다(4).

 

우리말식 해석 : 큰(1) 셋은(2) 합하여(3) 여섯으로(4) 태어납니다(5).

 

여섯을 낳는 것과 스스로 태어나는 것은 전혀 다른 뜻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