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orean

삼국지의 리더십과 뇌과학적 원리, 그리고 실행방법

by Sam Histo 2023. 10. 9.

삼국지는 단순한 역사 소설이 아닙니다. 그 안에는 현대의 리더들이 배울 수 있는 교훈들이 가득합니다. 이 글을 통해 삼국지에서 배울 수 있는 10가지 리더십을 발견하고, 뇌과학적 원리와 함께 어떻게 우리의 일상과 비즈니스에 적용될 수 있는지 구체적인 방법을 알아보세요.

 

삼국지

 

 

전략적 사고와 현명한 판단력

 

전략적 사고와 현명한 판단력은 모든 성공적인 리더에게 필수적인 특성입니다. 이 두 가지 요소는 더 큰 목표를 위해 작은 결정들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됩니다.

 

삼국지에서 관련된 대표적인 에피소드로는 장비가 주유에게 "백곡녕(百谷寧)" 전략을 제안하는 장면을 들 수 있습니다. 이 전략은 여러 곡물을 한 곳에 모아서 보관하되, 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주변 지역의 식량을 모두 없애버리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장비와 주유는 자신들의 병사들은 물론, 시민들까지도 보호할 수 있었습니다.

 

뇌과학적 원리로 본다면, 이런 전략적 사고와 판단력은 우리 뇌의 프론토파리엘 코르텍스(Prefrontal Cortex)라는 부분에서 나옵니다. 이 부분은 계획 세우기, 문제 해결 등 복잡한 인식 작업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개선하는 방법으로는 'SWOT 분석'이나 'PEST 분석'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상황을 평가하고 가능성 있는 여러 대안 중 최선의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자신감과 카리스마

 

자신감과 카리스마는 리더의 가장 중요한 특성 중 하나입니다. 이들은 리더가 그룹 내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다른 사람들을 이끌어 갈 수 있게 합니다.

 

삼국지에서는 주유가 자신의 병사들에게 "동방의 적은 반드시 물리칠 것"이라며 확신에 찬 말을 했던 장면이 대표적입니다. 이런 자신감은 병사들에게 큰 용기를 부여하였습니다.

 

뇌과학적으로 보면, 카리스마는 대뇌 피질의 '미러 뉴런'이라는 세포를 통해 전달됩니다. 이 뉴런은 타인의 행동을 모방하는 역할을 하며, 따라서 리더의 강한 자신감과 카리스마는 구성원들에게도 전달되어 집단 내 동기부여와 협력을 증진시킵니다.

 

자신감과 카리스마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목표 설정, 긍정적인 사고방식 유지, 스스로를 잘 알아가기 위한 성찰 등이 필요합니다.

 

책임감과 모범적인 행동

 

좋은 리더는 실패할 때 책임지고 성공할 때 공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지도자가 모범이 되어야 하며, 이것이 팀원들로 하여금 동기부여와 신뢰를 갖게 합니다.

 

삼국지에서 관련된 에피소드로는 조조가 패배 후 그 책임을 스스로 지고 병사들에게 사죄하는 장면 등이 있습니다. 그 외에도 조조는 식량 문제 해결 등 여러 상황에서 직접 나서서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모범적인 행동을 보였습니다.

 

뇌과학적으로 보면, 이러한 책임감과 모범적인 행동은 '내분비계'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스트레스 상황에서 적절하게 대응하고 책임을 지는 것은 코티솔 등의 호르몬에 의해 조절됩니다.

 

이런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행동과 결정에 대한 깊은 이해와 성찰, 그리고 그 결과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동료와의 연결성 및 파악능력과 분석능력

 

좋은 리더는 자신의 팀원들과 강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그들의 욕구와 기대를 이해합니다. 또한, 상황파악 및 분석능력 역시 매우 중요합니다.

 

삼국지에서 관련된 에피소드로는 유비가 그의 장군인 관우와 창을 나눠 가지는 장면이 대표적입니다. 이로써 유비는 관우와 깊은 신뢰와 애정을 공유했습니다. 또한, 주유가 적의 전략을 파악하고 이를 분석하여 자신의 전략을 세운 장면도 여러 차례 등장합니다.

 

뇌과학적으로 보면, 이런 동료와의 연결성은 '대인관계 신경회로'에 의해 지원되며, 파악능력과 분석능력은 '전두엽'에서 나옵니다.

 

동료와 더욱 깊게 연결되기 위해서는 직접 소통하고 상호 존중하는 것이 중요하며, 파악능력과 분석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비판적 사고를 통해 해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관용 및 대인관계 능력

 

다른 의견과 창조성에 대한 관용도 좋은 지도자의 특성입니다. 또한 팀원들과 원활한 소통과 협력을 위해 대인관계 능력이 필수적입니다.

 

삼국지에서 조조가 자신에게 반항하는 맹덕에게 목숨을 살려주는 장면에서 그 관용성을 볼 수 있습니다. 조조는 맹덕이 본인에게 반항함에도 그의 용맹함을 인정하여 목숨만은 구제했습니다. 주유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자신의 아군들과 원만하게 소통하여 모두가 합심하여 위기를 극복하는 장면에서 대인관계 능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뇌과학적으로 본다면, 이런 관용성과 대인관계 능력은 '임파스'라는 감정적 연결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이는 우리의 뇌에서 '대뇌 피질' '편도체' 등 여러 부위가 함께 작동함으로써 가능해집니다.

 

이런 능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해와 배려를 기르고,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공감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요약

 

삼국지는 단순한 역사 소설이 아닙니다. 그 안에는 현대의 리더들이 배울 수 있는 교훈들이 가득합니다. 전략적 사고, 현명한 판단력, 자신감, 카리스마, 책임감, 모범적인 행동, 동료와의 연결성 및 파악능력과 분석능력 등 다양한 리더십 스킬들을 배울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관용 및 대인관계 능력은 리더가 직원들과 원활하게 소통하고 서로를 존중하는 환경을 만드는데 중요합니다. 이러한 스킬들은 삼국지 속 인물들로부터 배우고 실제 생활에 적용함으로써 우리 모두가 보다 나은 리더가 될 수 있습니다.